마쓰다이라 요리즈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요리즈미는 기슈번주 도쿠가와 요리노부의 셋째 아들로,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다. 1670년 이요 사이조번 3만 석을 받아 다이묘가 되었으며, 상근교대를 하지 않는 정부 다이묘였다. 1711년에 사망했으며, 가독은 다섯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치(마쓰다이라 요리치카)가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조번주 (이요국) - 히토쓰야나기 나오모리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히토쓰야나기 나오모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겨 임진왜란에 참전하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이세 고베 번주를 거쳐 이요 사이조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부임지로 가던 중 사망했다. - 사이조번주 (이요국) - 도쿠가와 무네나오
도쿠가와 무네나오는 에도 시대 인물로 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6대 당주이며, 종형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쇼군이 되면서 기슈 번주 자리를 계승하여 와카야마 번의 재정 재건에 힘썼고, 슬하의 자녀들을 통해 가문의 위상을 높였으며 텔레비전 시대극 《주먹대장》에도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 사이조 마쓰다이라가 - 도쿠가와 무네나오
도쿠가와 무네나오는 에도 시대 인물로 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6대 당주이며, 종형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쇼군이 되면서 기슈 번주 자리를 계승하여 와카야마 번의 재정 재건에 힘썼고, 슬하의 자녀들을 통해 가문의 위상을 높였으며 텔레비전 시대극 《주먹대장》에도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다. - 사이조 마쓰다이라가 - 도쿠가와 모치쓰구
도쿠가와 모치쓰구는 사이조번 번주의 아들로 태어나 기슈번 번주를 거쳐 막부 말기에 쇼군을 보좌하고 신정부에 협력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와카야마 번지사를 지내고 귀족원 의원을 역임하다 사망했다. - 기슈 도쿠가와가 - 기슈번
기슈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후 아사노씨의 영지였다가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상속받아 기이 도쿠가와 가문이 다스리게 되었고, 쇼군을 배출하며 막부와 관계를 유지했으나 재정난을 겪었으며, 판적봉환 후 와카야마 번으로 개칭, 폐번치현으로 와카야마현이 되었다. - 기슈 도쿠가와가 - 도쿠가와 이에시게
도쿠가와 이에시게는 에도 막부 제9대 쇼군으로, 건강 문제와 언어 장애에도 불구하고 쇼군직을 계승하여 일부 경제 정책을 추진했으나 사회 불안을 겪었고, 측근을 중용했으며, 아들에게 쇼군직을 양위한 후 사망하여 그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 |
---|---|
기본 정보 | |
씨명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중기 |
출생 | 간에이 18년 1월 4일 (1641년 2월 13일) |
사망 | 쇼토쿠 원년 10월 7일 (1711년 11월 16일) |
어릴적 이름 | 고마쓰마루 |
개명 | 요리즈미 |
시호 | 겐세이인 |
계명 | 겐세이인 |
관위 | 종4위하 권소장, 좌경대부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쓰나 → 쓰나요시 → 이에노부 |
번 | 이요 사이조 번 번주 |
씨족 | 기슈 도쿠가와 가문 지류 사이조 마쓰다이라 가문 |
부모 | 아버지: 도쿠가와 요리노부, 어머니: 오치 씨 |
형제 | 도쿠가와 미쓰사다, 슈리, 요리즈미, 이나바히메, 마쓰히메 |
배우자 | 정실: 혼다 다다요시의 딸 세이쇼인 측실: 간주인, 사토 씨 |
자녀 | 와타나베 야스쓰나, 요리미치, 요리카도, 요리오, 요리치, 나오미네, 요리나베, 오루텐히메, 기요히메, 요이, 야치, 여자, 매화, 초, 사방, 가나, 여자 |
직책 | |
전임자 | 히토쓰야나기 나오오키 |
후임자 | 마쓰다이라 요리요시 |
직책 | 사이조 번 번주 (기슈 마쓰다이라 가) |
대수 | 1 |
임기 | 1670년 ~ 1711년 |
2. 생애
마쓰다이라 요리즈미는 도쿠가와 요리노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며, 형은 도쿠가와 미쓰사다이다.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숙부이자, 도쿠가와 이에미쓰와 도쿠가와 미쓰쿠니의 사촌 형제였다.[1]
1645년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 알현하였고, 1654년 종4위 소장(좌경대부)에 서임되었다. 1670년 이요 사이조 3만 석을 받고 다이묘가 되었다.[1]
正徳|쇼토쿠일본어 원년(1711년)에 사망하였다. 향년 71세(만 70세)였다. 가독은 다섯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치가 계승하였다.[1]
2. 1. 출생과 가계
도쿠가와 요리노부|徳川頼宣일본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일본어는 그의 조부이며, 형은 도쿠가와 미쓰사다|徳川光貞일본어이다.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일본어의 숙부이자, 도쿠가와 이에미쓰|徳川家光일본어와 도쿠가와 미쓰쿠니|徳川光圀일본어의 사촌 형제였다.2. 2. 관직 서임
쇼호 2년(1645년)에 3대 쇼군 이에미쓰에게 알현하였다. 쇼오 3년(1654년)에 종4위 소장(좌경대부)에 서임되었다. 간분 10년(1670년)에는 이요 사이조 3만 석을 받고 다이묘가 되었다.[1]2. 3. 사망
正徳|쇼토쿠일본어 원년(1711년)에 사망하였다. 향년 71세(만 70세)였다. 가독은 다섯째 아들 마쓰다이라 요리치카가 계승하였다.[1]3. 가계
구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도쿠가와 요리노부 | 1602년 ~ 1671년 |
어머니 | 에치씨 | |
정실 | 청성원 | ? ~ 1673년, 혼다 다다요시의 딸 |
측실 | 관수원 | 오타씨 |
측실 | 사토씨 | |
장남 | 와타나베 야스쓰나 | 1658년 ~ 1738년, 와타나베 나오쓰나의 양자, 생모 불명 |
차남 | 마쓰다이라 요리미치 | 1661년 ~ 1698년 |
장녀 | 오류텐히메 | 1663년 ~ 1711년, 아쓰미 카쓰유키 정실, 생모 불명 |
삼남 | 마쓰다이라 요리카즈 | 1664년 ~ 1683년, 생모 불명 |
차녀 | 청희 | 1666년 ~ 1727년, 이노우에 마사미네 정실 |
사남 | 마쓰다이라 요리오 | 1668년 ~ 1718년 |
자녀 | 이름 미상 | 1672년생, 생모 불명 |
삼녀 | 요이 | 1676년 ~ 1709년, 정강원/청강원, 사나다 노부히로 정실, 관수원 소생 |
사녀 | 매 | 1678년 ~ 1683년, 생모 불명 |
오녀 | 팔천 | 1680년 ~ 1763년, 코이데 히데사다 정실, 관수원 소생 |
오남 | 도쿠가와 무네나오 | 1682년 ~ 1757년, 관수원 소생 |
육녀 | 초 | 1684년 ~ 1688년, 생모 불명 |
칠녀 | 사방 | 1687년 ~ 1692년, 생모 불명 |
육남 | 미보리 나오미네 | 1697년 ~ 1716년, 미보리 사쿠에몬의 양자, 사토씨 소생 |
팔녀 | 가나 | 1692년 ~ 1693년, 생모 불명 |
칠남 | 마쓰다이라 요리와타리 | 1706년 ~ 1738년, 마쓰다이라 요리치카의 양자, 사토씨 소생 |
4. 평가 및 기타
마쓰다이라 요리즈미에 대한 평가는 전해지지 않지만, 1995년 NHK 대하드라마 《8대 장군 요시무네》에서 배우 후지오카 타쿠야가 그의 역할을 맡았다는 기록을 통해 현대 대중문화에서 그의 모습이 재조명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1. 대중 매체
1995년 NHK 대하드라마 《8대 장군 요시무네》에서 배우 후지오카 타쿠야가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역을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